리사 수 CEO “AI가 성장 주도… AMD, 차세대 컴퓨팅 선도할 독보적 위치”
AMD가 인공지능(AI) 반도체 경쟁의 한복판에서 데이터센터 칩 시장을 오는 2030년까지 1조 달러(약 1,400조 원) 규모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CEO)는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AMD 애널리스트 데이’ 행사에서 “AI가 성장의 대부분을 주도할 것”이라며 데이터센터 부문을 차세대 성장의 핵심으로 지목했다.
AI 중심으로 재편되는 데이터센터 시장
리사 수 CEO는 “데이터센터가 AMD의 가장 큰 성장 기회”라며 “AMD는 CPU, GPU, AI 칩 등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AI 컴퓨팅의 미래를 선도할 독보적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AMD는 내년 출시 예정인 차세대 AI 칩 ‘MI400 시리즈’를 통해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에 도전할 계획이다.
서버 시장 진출로 엔비디아와 정면 승부
AMD는 CPU와 GPU를 결합한 서버랙 시장에도 본격 진출한다.
이 시장은 엔비디아의 ‘GB200 NVL72’ 제품이 선점하고 있는 영역으로, AMD는 성능과 효율성을 앞세워 점유율 확대를 노린다.
리사 수 CEO는 “AMD는 AI 관련 인수합병(M&A) 기계를 구축했다”며 AI 분야에서의 공격적인 사업 확장을 예고했다.
“3~5년간 데이터센터 부문 60% 성장”
진 후 AMD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향후 3~5년간 AMD의 전체 사업 부문이 연 35%, 데이터센터 부문은 60%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주당순이익(EPS)은 20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2024년의 3.31달러 대비 6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픈AI와 협력 강화… AI 칩 시장 본격 추격
AMD는 최근 오픈AI와 수백억 달러 규모의 AI 칩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엔비디아 추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정 조건 충족 시 오픈AI가 AMD 지분 약 10%를 주당 1센트에 인수할 수 있는 옵션도 포함돼 협력 관계가 한층 공고해졌다.
또한 서버 제조사 ZT시스템스, AI 모델 최적화 기업 MK1을 인수해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했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 [칼럼] 엔비디아 제국의 균열이 시작했다...반격하는 AI 칩들의 시대가 열렸다
- 삼성전자, HBM4 개발 완료… “고객 요구 성능 선제 반영해 샘플 출하”
- “엔비디아를 대체하라”…오픈AI·브로드컴, AI 인프라 혁신 동맹
- ‘HBM4 대전’ 불붙은 코엑스…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AI 메모리 패권전 본격화
- 오픈AI, AMD GPU에 수조원 베팅…엔비디아 독주에 ‘균열’ 예고
- [분석리즘] “엔비디아 독점 깨다” 퓨리오사AI, 국산 칩으로 AI 주권을 설계하다
- AI 데이터센터 자금조달 ‘빅딜’ 확산… 고수익 뒤섞인 고위험 구조
- 미국 빅테크, AI 인프라 '슈퍼 확장'… MS·메타·앤스로픽 데이터센터 투자 경쟁 격화
- 엔비디아 전성 시대에도… 슈퍼컴 성능 세계 1위는 AMD
- AMD, 사우디가 선택한 ‘진짜 대안’이 되다...엔비디아를 넘는 중동 공략 전략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