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연구기관의 생성형 AI 도입 부담 낮출 걸로 기대

네이버 클라우드 김유원 대표(사진=네이버 제공)
네이버 클라우드 김유원 대표(사진=네이버 제공)

네이버가 자사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를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한다. 국내 기업이 자사 생성형 AI 모델을 상업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오픈 소스로 공개하는 첫 사례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 3종 ▲HyperCLOVA X SEED 3B, ▲HyperCLOVA X SEED 1.5B, ▲HyperCLOVA X SEED 0.5B의 개발을 완료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24일 밝혔다. 국내·외 기업과 연구기관 등은 해당 모델을 내려 받아 필요에 맞게 조정하여 비즈니스 및 학술 연구에 이용할 수 있다.

이번에 공개된 오픈소스 모델인 HyperCLOVA X SEED는 연구용으로만 사용 가능했던 기존 국내 기업들의 주요 모델과 달리 상업 목적으로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비용 부담과 라이선스 제한 등으로 생성형 AI 도입을 망설였던 중소 비즈니스 중심으로 AI 생태계가 확장될 걸로 보인다.

특히 HyperCLOVA X SEED 3B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 정보도 처리할 수 있는 시각언어모델로 도표 이해, 개체 인식, 사진 묘사 등도 가능하다. 한국어·한국문화와 영어 관련 시각 정보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9개 벤치마크*의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HyperCLOVA X SEED 3B는 유사 규모의 미국・중국 빅테크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고, 파라미터 수가 훨씬 많은 해외 대규모 모델과 유사한 정답률을 보였다.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는 "네이버의 온 서비스 AI(On-Service AI) 전략이 가속화되면서 네이버 서비스에 안정적, 비용 효율적 적용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특화 모델들을 생산하고 있고, 최근 가장 니즈가 많은 모델이 경량 모델과 추론 모델이었다"면서 "이 중 기업들이 GPU 리소스 부담 없이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김 대표는 "최근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소버린 AI는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이며,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요구되는 일종의 체력전"이라며 "AI 저변 확대를 위한 이러한 노력들이 국내 소버린 AI 생태계의 체력을 더욱 단단히 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권상민 기자 smkwon@kmjourna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