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지난달 30일 인공지능(AI) 서비스 '에이닷'에 베타 버전으로 탑재된 '노트' 서비스가 출시 일주일 만에 누적 사용자 30만명을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에이닷 노트는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순간을 AI로 기록하는 서비스로, 다양한 상황에서 음성을 AI가 실시간으로 받아쓰고 요약한다.
녹음이 종료된 후 사용자가 요점 정리, 회의록, 강의 노트 중 원하는 템플릿을 선택하면, AI가 사용 목적에 맞춰 핵심 내용을 손쉽게 정리해준다.
특히 실시간으로 음성 정보를 문자로 변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녹음 중간에도 화면을 통해 기록되는 내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회의 내용을 일부 놓치더라도 일정 시간마다 내용을 요약해주는 기능인 실시간 요약을 통해 필요한 내용을 다시 찾을 수 있다.
SKT가 출시 후 일주일간 이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주요 이용 시간대는 오전 10~11시와 오후 3~5시로 나타났으며 30~40대가 이용자의 절반을 차지했다.
SKT는 "30~40대 직장인들이 실시간으로 회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니즈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노트 서비스의 이용 비중을 살펴보면, iOS·안드로이드 등 앱 환경이 80%, PC 웹 환경이 20%로 모바일 앱을 통한 사용이 많았다.
또한 이용자들은 노트 서비스에 대해 템플릿 다양화, 외국어 지원 확대, 녹음 시간 확대 등 다양한 기능 추가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SKT는 이 같은 의견을 반영한 정식 버전을 하반기 중 선보일 예정이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한국판 소버린 AI의 서막…SKT·KT, 한국어 특화 LLM 동시 공개
- SK텔레콤 AI 서비스 '에이닷', 노트·브리핑 기능 베타 출시
- [소버린 AI] “이젠 칩도 모델도 K-기술”
- SKT, 에이닷에 리벨리온 NPU 적용 테스트…"국산 AI생태계 구축"
- 퍼플렉시티, 에이닷 제치고 생성형 AI 앱 사용 3위
- 국민 절반, 생성형 AI 앱 ‘생활화’… 챗GPT 압도, 뤼튼·에이닷 추격전
- SKT, 에이닷에 제미나이 최신모델 추가
- "사람이 아니었다고?" 스포티파이 인기 밴드, AI로 밝혀져
- 에이닷에서 피지컬AI까지… SKT, 차세대 AI 패권에 도전장
- SKT, 'A.X 3.1' 오픈소스 전격 공개…한국형 초거대 AI의 진화
- 이통 3사, K-AI 주도권 놓고 본격 경쟁…‘독자 AI’ 생태계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