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중동 겨냥…정부 수요 맞춘 AI 반도체 시스템 설계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은 미국 반도체 기업 마벨 테크놀로지(이하 마벨)와 협력해 아시아태평양(APAC) 및 중동 내 소버린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 AI 시스템 공동 개발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각국 정부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AI 경쟁력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만큼 양사의 기술을 결합해 각 국가와 지역 특성에 맞춘 차세대 AI 시스템을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
리벨리온은 마벨의 커스텀 설계 플랫폼을 활용해 고객 맞춤형 추론용 AI 반도체를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적·사업적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특히 마벨이 보유한 첨단 패키징 기술, 고속 직렬 데이터 전송 기술, 다이투다이(Die-to-die) 인터커넥트 등을 기반으로 서버 단위를 넘어 랙 수준까지 통합된 고성능·고효율 AI 인프라를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리벨리온 박성현 대표는 "AI반도체 설계 전문성과 첨단 반도체 통합 기술을 결합하고, 각국 정부 및 기관의 현실적인 수요에 최적화된 맞춤형 AI 인프라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마벨의 윌 추 커스텀 클라우드 솔루션 부문 수석부사장은 "커스텀 AI 인프라는 데이터센터 혁신의 새로운 흐름을 열어갈 핵심 요소"라며, "리벨리온과의 협업을 통해 성능, 효율성, 확장성을 모두 갖춘 차세대 AI 인프라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관련기사
- [테크 칼럼] 클라우드를 떠난 AI, ‘기기 안으로’… 한국 온디바이스 AI 생태계가 뜬다
- [국가대표AI 선발전] SKT 컨소시엄, 풀스택 AI 생태계로 승부…크래프톤 게임 AI 맡는다
- [분석리즘] 삼성 HBM3E로 무장한 한국형 AI반도체를 만드는 '리벨리온'
- [소버린 AI] “이젠 칩도 모델도 K-기술”
- [분석리즘] “엔비디아 독점 깨다” 퓨리오사AI, 국산 칩으로 AI 주권을 설계하다
- SKT, 에이닷에 리벨리온 NPU 적용 테스트…"국산 AI생태계 구축"
- 리벨리온, 사우디 현지 법인 설립
- 리벨리온, ‘리벨쿼드’로 AI 반도체 경쟁 격화…엔비디아 블랙웰급 성능에 저전력까지
- GPU의 시대는 끝났나…리벨리온 ‘리벨쿼드’가 여는 한국 NPU 반격
- 리벨리온, 실리콘밸리 투자자 품었다…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
메타버스, AI, XR 조금 더 들여다보고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