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 ‘소라’ 글로벌 1위 도시… 한국 개발자·산업계와 본격 교류 강화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13일 서울에서 첫 데브데이를 열고 한국 개발자 및 산업계와 기술 협력 기반을 넓히는 행보에 나섰다.

오픈AI의 첫 한국 데브데이. 사진=연합뉴스
오픈AI의 첫 한국 데브데이. 사진=연합뉴스

한국 첫 개최… 올트먼 CEO, 영상 메시지로 “AI 혁신 중심은 한국”

오픈AI가 서울에서 데브데이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데브데이는 오픈AI가 글로벌 AI 생태계 확장을 위해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진행하는 개발자 중심 행사다.

이번 행사는 지난달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방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스타트업 지원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이어진 후속 일정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올트먼 CEO는 축하 영상 메시지에서 “전 세계에서 최고의 AI 이니셔티브가 실현되는 나라가 한국”이라며, “샌프란시스코 데브데이의 열기를 한국 현장에 전하고 싶다”고 밝혔다.

또한 “제가 직접 함께하고 싶었고, 곧 다시 찾아가겠다”며 “참고로 이건 진짜 저고 ‘소라’가 만든 영상이 아니다”라고 농담을 건네 분위기를 띄웠다.

“서울은 세계 1위 ‘소라’ 이용 도시”…한국 개발자 생태계 집중 조명

김경훈 오픈AI코리아 총괄대표는 “한국은 AI 흐름을 따라가는 나라가 아니라,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선도하는 국가”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인구 대비 유료 이용자 비율이 가장 높은 시장이며, 서울은 전 세계에서 ‘소라’ 이용자가 가장 많은 도시”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개발자와 인프라, 혁신 기업이 밀집해 있어 창의적인 시도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곳이 바로 한국”이라고 말했다.

또 “이 환경에서 글로벌 수준의 스타트업과 서비스가 더욱 많이 탄생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다양한 산업군 참여… 오픈AI 한국 B2B 사업 본격화 시동

이날 행사에는 삼성전자, 카카오 등 대기업과 에임인텔리전스, 와들 등 AI 스타트업을 비롯해 금융, 법률, 숙박, 제조 등 국내 주요 산업군에서 약 150명의 관계자가 모였다.

업계에서는 이번 개최를 계기로 오픈AI가 한국 시장에서 자사 모델과 API 기반의 B2B 사업을 본격 확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데브데이에서 공개된 주요 기능과 개발자 도구들도 이날 행사에서 소개됐다.

오픈AI 해외 지사 담당자들과 국내 개발자 간 문답도 활발히 이어졌다.

전통적인 콘퍼런스홀 대신 개방형 공간에서 진행돼 참가자 간 네트워킹 역시 활발하게 이뤄졌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