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유산 분야 첫 국가유산 수장…'반구천 암각화' 조사·연구 참여
"남북 협력 방안 고민…국가유산 보호·국민 안전 상황 점검할 것"
허민 신임 국가유산청장은 13일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가유산 보존·관리 정책을 혁신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허 신임 청장은 국가유산청장 임명 사실이 발표된 직후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국가유산, 그리고 국가유산청의 역할을 재정립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의 인공지능(AI) 정책을 언급하며 "AI나 확장현실(XR) 등의 기술을 통해 (국가유산을) 디지털로 영구 보존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설명했다.
'공룡박사'로 잘 알려진 허 신임 청장은 지질유산 전문가다.
그는 2007년 남해안 공룡 화석지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꾸려진 추진단의 부위원장 겸 추진단장을 맡았으며, 대한지질학회장, 한국고생물학회장 등을 지냈다.
국가유산청의 전신인 문화재청에서는 문화재위원회(현재 문화유산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며 지질 및 자연유산 분야 전문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고생물학을 포함한 지질유산 분야 전문가가 국가유산 정책을 총괄하는 수장이 된 건 처음으로 알려졌다.
통상 국가유산 혹은 문화유산 분야에서는 고고학, 미술사학, 역사학을 전공하는 경우가 많다. 전임인 최응천 청장은 불교미술 전문가다.
이와 관련해 허 신임 청장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를 직접 조사·연구했던 경험을 전하며 "국가유산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으로 잘 관리하고 보존하는 한편, (세계유산이) 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에 있는 다양한 유산을 잘 보존하고 그 가치를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허 신임 청장은 국가유산 분야에서 남북이 협력할 방안을 고민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그는 "막혀 있었던 남북 협력을 문화·관광·산업 쪽으로도 풀 수 있도록 관계 부처 및 관련 기관과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 신임 청장은 국가유산과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겠다고 했다.
그는 "화재, 지진 등 각종 재해나 재난으로부터 국가유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국가유산) 현장을 점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공연장도 미리 경험하는 시대”...올림플래닛, XR 기술로 태양의서커스 ‘쿠자’를 먼저 만나다
- "XR·AI로 꿈 키워볼래" 제주교육청, 진로직업체험센터 개소
- 디지털트윈으로 복제된 메카...서울 11배 규모, 세계가 주목한 한국 기술
- XR 초강국 꿈꾸는 한국, 글로벌 경쟁력은 4위
- 경복궁에 등장한 AI 사회자 ‘여민’, ‘동락’…문화유산 분야에도 AI 바람
- 본에어, 프라이빗 제트에 XR 명상 솔루션 '차원' 도입
- [테크 칼럼] 사라진 ‘메타버스’는 어디로 갔을까?
- 우리 전통 문화 활용한 미디어아트,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 조선왕실행차, 오사카에서 미디어아트로 즐긴다
- [칼럼] XR로 잇는 문화유산, 전통의 결을 기술로 남기다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기반 인공지능 개발한다
- “조선왕릉이 XR로 깨어나다”
- 경복궁에서 AI와 XR이 만나다...애니펜, 현실 위에 ‘역사’를 소환한 한국형 확장현실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