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AI(대표 유태준)가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obot Foundation Model, RFM) 상용화에 성공하며 온디바이스AI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렸다. RFM은 다양한 로봇이 시각·음성·언어·센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스스로 판단·행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멀티모달 인공지능 모델로, 로봇 자율성과 범용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기존에는 로봇마다 개별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했지만, RFM은 하나의 공통 모델로 서비스로봇·안내로봇·경비로봇 등 여러 도메인에 적용할 수 있어 개발 효율성과 속도를 크게 개선했다.
SUDA·MAAL·WoRV 통합한 상위 모델…Physical AI 상용화 가속
마음AI는 이미 SUDA(수다), MAAL(말), WoRV(워브) 등 세 가지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실세계 환경을 인식하고 반응하는 Physical AI를 상용화해왔다. 이번 RFM은 이러한 개별 기술을 통합해 완성된 상위 모델로, 로봇의 학습·판단 능력을 인간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손병희 AI연구소장과 김문환 국방사업총괄 부사장이 투톱 체제로 개발을 이끌었다. 손 소장은 RFM의 기술 구조 및 모델 통합을, 김 부사장은 국방·제조·공공 분야의 도메인 확장과 실증 사업화를 주도했다.
공항 안내·스마트시티·국방 무인체계까지…적용 도메인 확대
마음AI는 RFM 상용화를 통해 로봇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공항 안내 시스템·스마트시티·국방 무인체계 등 다양한 핵심 사업 분야로 빠르게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김문환 부사장은 “국방과 산업 현장은 높은 정확성과 신뢰도가 필수인데, RFM은 이미 현장 테스트와 실증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했다”며 “빠른 확산 적용으로 로봇 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온디바이스AI 전략의 결정판…생태계 확산 가속화 전망
RFM은 로봇 단말기에 직접 AI 모델을 구동하는 온디바이스AI 전략의 결정판으로 평가된다. 네트워크 의존도를 낮추면서 실시간 자율성 확보가 가능해, 기존 클라우드 기반 로봇 AI 대비 속도·보안·비용 면에서 경쟁력이 크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테크 칼럼] 클라우드를 떠난 AI, ‘기기 안으로’… 한국 온디바이스 AI 생태계가 뜬다
- 마음AI, 차세대 피지컬 AI 기술로 교육현장 혁신 주도
- ‘피지컬 AI’로 산업 대전환 이끈다...한국피지컬AI협회 출범
- [분석리즘] 피지컬 AI의 최전선, 마음AI는 한국의 대표 AI 기업이 될 수 있을까
- 퀄컴, 마음AI·모토브 등 국내 5개 스타트업 AI 혁신 지원
- 마음AI, “GPT 이후 미래는 피지컬 AI”…자율주행 농기계로 상용화 돌입
- "매장 가면 5만원인데..." GS25가 2천원에 출시한 뷰티 서비스
- [테크핫템] “음성으로 지휘하는 로봇개?”…고스트로보틱스 비전 60
- 피지컬 AI 산업 전환 가속…마음AI가 열어가는 자율 로봇 시대
- 마음AI, ‘K-휴머노이드 연합’ 참여…로봇 파운데이션 모델과 온디바이스 AI 기술 본격화
- 마음AI, 피지컬 AI 전문 플랫폼 ‘PAI몰’ 정식 오픈
- 마음AI, 세계 무대서 기술력 입증…“바로 써먹는 AI”로 승부수
- [테크 칼럼] 온디바이스AI, 한국이 AI 세계 3강으로 가는 실질적 선택지다
- 구글, 초소형 AI 모델 ‘젬마3 270M’ 공개…“25번 통화해도 배터리 0.75% 소모”
- 정부, 국산 AI 반도체 기반 'AX 디바이스' 개발 본격 지원
- 마음AI, ‘피지컬 AI’로 글로벌 무대 본격 진출… 동시통역부터 로봇개 ‘소라’까지
- [분석리즘] 마음AI, 온디바이스 시대의 피지컬 AI 플랫폼을 꿈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