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M 상용화로 휴머노이드 로봇 특화 생태계 내재화 시동
마음AI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의 ‘K‑휴머노이드 연합’ 공식 참여기업으로 선정되면서, 온디바이스 AI 기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이번 협력은 국산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 조성의 전환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중심의 국가 전략 본격화
‘K‑휴머노이드 연합’은 로봇, AI, 부품, 수요기업이 공동 참여하는 국가 단위 협력 프로젝트다. 목표는 로봇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 실증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다. 기존의 범용 AI 모델에서 벗어나, 실제 기기 환경에 최적화된 인지·추론·제어 시스템 구현에 초점을 맞춘다.
마음AI는 연합 내 기술 파트너사로 참여해 자사의 멀티모달 AI 역량을 기반으로 로봇 플랫폼에 통합 가능한 온디바이스 AI 모델을 공동 개발하고, 실증 및 상용화까지 단계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마음AI의 RFM, 온디바이스 로봇 AI 통합 모델
2025년 7월, 마음AI는 시각·음성·언어·센서 데이터를 통합 처리해 로봇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을 성공적으로 상용화했다고 발표했다.
RFM은 마음AI가 개발해온 다국어 언어모델 MAAL, 음성 상호작용 모델 SUDA, 비전·언어·행동 통합 제어 모델 WoRV 등을 융합한 상위 모델로, 피지컬 AI 시대를 여는 핵심 기반 기술로 평가된다.
RFM은 서비스로봇, 안내로봇, 경비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범용으로 적용 가능한 공통 AI 엔진이다. 이를 통해 AI 개발과 적용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기존에는 로봇마다 별도로 AI를 설계해야 했지만, RFM은 하나의 모델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기술적 진보를 이룬 셈이다.
무엇보다 RFM은 단순한 명령 인식을 넘어서, 상황을 이해하고 추론해 스스로 행동을 결정하는 종합적인 판단 능력을 갖추고 있어, 로봇의 ‘두뇌’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온디바이스 AI와 로봇 생태계 내재화 전략
마음AI는 이번 ‘K‑휴머노이드 연합’ 참여를 통해 자사가 축적해온 온디바이스 AI 기술력과 RFM 상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로봇 산업 내 AI 기술 내재화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유태준 마음AI 대표는 “단순 API 호출이 아닌, 기기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판단하고 반응하는 온디바이스형 인공지능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며, “로봇과 스마트 디바이스 전반에 적용 가능한 AI 기술로 산업 전반의 기술 자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마음AI,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상용화…온디바이스AI 경쟁력 강화
- 마음AI, 차세대 피지컬 AI 기술로 교육현장 혁신 주도
- [분석리즘] 피지컬 AI의 최전선, 마음AI는 한국의 대표 AI 기업이 될 수 있을까
- 퀄컴, 마음AI·모토브 등 국내 5개 스타트업 AI 혁신 지원
- 마음AI, “GPT 이후 미래는 피지컬 AI”…자율주행 농기계로 상용화 돌입
- 마음AI, 피지컬 AI 전문 플랫폼 ‘PAI몰’ 정식 오픈
- 마음AI, 세계 무대서 기술력 입증…“바로 써먹는 AI”로 승부수
- 마음AI, 정부 'AI 혁신' 한 축으로…피지컬AI 생태계 주도 나선다
- K-휴머노이드 연합, 한국 로봇 산업 ‘총력전’…KAI·LG·삼성·뉴로메카 등 속속 합류
-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예타 면제 확정…정부 9973억 투입해 산업 전환 본격화
- 경남도, ‘피지컬 AI’ 개발·SMR 제조 중심지로 도약
- 마음AI, ‘피지컬 AI’로 글로벌 무대 본격 진출… 동시통역부터 로봇개 ‘소라’까지
- 마음AI, AI로 사회적 약자 돕다…정부혁신 장관상 수상
- [분석리즘] 마음AI, 온디바이스 시대의 피지컬 AI 플랫폼을 꿈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