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선발 본선을 노리는 SKT,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로 차별화 승부수
SK텔레콤이 AI 서비스 ‘에이닷(A.)’의 최신 버전인 ‘에이닷 4.0’을 4일 공식 발표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국가 인공지능 프로젝트 'K-AI' 선발 경쟁에 본격 돌입했다.
이번에 공개된 에이닷 4.0은 최신 AI 트렌드로 주목받는 ‘에이전틱 워크플로우’(Agentic Workflow)를 적용해 기존 AI와는 차별화된 자율성과 유연성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다. 단순 명령 수행을 넘어, 사용자와의 대화 맥락을 이해하고 스스로 계획을 수립해 목표를 달성하는 능동적인 AI 에이전트로 진화했다.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는 ▲계획 수립 ▲외부 도구 활용 ▲다중 에이전트 협업 ▲결과 점검 및 개선 등 총 4단계로 구성되며, 이 전 과정을 에이닷이 스스로 수행한다. 특히 SK텔레콤은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해 적합한 하위 에이전트를 자동으로 호출하고 작업을 조율하는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 기술을 자체 개발해 이번 버전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전처럼 기능별 에이전트를 직접 선택하지 않아도, 하나의 자연어 명령만으로 음악 추천, 주식 조회, 일정 등록 등 복합적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구글 캘린더와 아웃룩 연동, 여러 일정의 동시 수정, 다중 요청 처리, 감성 대화 모드 등도 대폭 개선됐다.
에이닷 4.0은 음성 인식 기능에서도 진일보한 모습을 보였다. 사용자의 발화가 끝나기 전에도 추가 질문을 실시간으로 인식해 대화의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설계된 고도화된 음성 모드가 적용됐다.
SK텔레콤은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에이닷이 “일상을 기억하고 돕는 AI 에이전트”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용훈 에이닷사업부장은 “에이닷 4.0은 사용자와 더 깊이 연결되는 AI로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숨은 니즈까지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생활 속에 녹아드는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네이버, 카카오, LG AI연구원, KT 등 국내 주요 AI 기업들과 함께 ‘독자 AI 파운데이션 개발 사업’(K-AI 프로젝트) 본선 진출을 목표로 크래프톤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 사업은 국내 AI 기술의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대형 AI 모델에 대응할 수 있는 국산 AI 모델을 선발·육성하기 위한 정부 주도 프로젝트다.
에이닷 4.0의 기술적 진화가 K-AI 본선 진출로 이어질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속보] ‘국가대표 AI’ 5곳 확정…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 D-1, 4일 국가대표 AI 발표… PT·질의응답 평가로 본 5대 컨소시엄 판세
- SKT 독자 AI 컨소시엄에 최종현학술원 합류한다
- ‘국가대표 AI’ 선발전 관전 포인트 총정리...정예 5팀 가를 핵심 변수는?
- SKT, 국내 최고 시각·언어 AI 오픈소스 선보여
- [국가대표AI 선발전] SKT 컨소시엄, 풀스택 AI 생태계로 승부…크래프톤 게임 AI 맡는다
- 크래프톤·SKT, 추론 특화 한국형 AI 언어 모델 공개
- "챗GPT보다 우수" 경찰, 보이스피싱 수사 AI '벨루가' 개발
- [국가대표AI] 통신 3사 중 유일한 탈락…KT, '국가대표 AI'에서 밀린 이유
- KT, AI 영상 공모전 'P.A.N' 접수 개시
- [테크 칼럼] 에이전트AI 시대, 인간은 어디에 관여하는가
- "내 마음상태는?" SKT, AI 기술로 임직원 정신건강 관리한다
- SK텔레콤 ‘에이닷’, 월간 이용자 1천만명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