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생성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합병 논의는 단순한 기업 결합을 넘어, 한국 디지털 금융의 새로운 내러티브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번 빅딜은 한국판 ‘코인베이스+페이팔’이라는 비유로 불리며, 거래소에서 인프라, 나아가 글로벌 결제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가능하게 할 분수령이 되고 있다.

업비트(Upbit)의 성공과 한계

두나무는 업비트를 통해 국내 가상자산 거래시장을 사실상 장악했다. 그러나 매출의 90% 이상이 거래 수수료에서 나오는 구조는 본질적 취약점이었다. 거래량이 줄면 실적은 급격히 위축됐고,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규제와 자금세탁방지 강화는 거래소 모델만으로는 장기 생존이 어렵다는 점을 드러냈다.

이 배경에서 두나무는 더 이상 거래소로 머물 수 없음을 자각했다. 바로 그 전환점에서 등장한 것이 기와(GIWA) 체인이다.

GIWA 체인의 등장과 네이버 생태계의 연결

기와 체인은 이더리움 기반 옵티미즘 스택(Optimism Stack)으로 설계된 레이어2(Layer2) 블록체인이다. 두나무는 이를 통해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기와월렛(GIWA Wallet)을 기반으로 실생활 결제를 연동하는 전략을 세웠다. 그러나 블록체인의 가치는 결국 ‘어디에 쓰이느냐’에서 판가름 난다.

그 답을 제공한 것이 바로 네이버였다. 네이버페이는 3천만 이용자와 연간 50조 원 거래 규모를 갖춘 대표적인 생활 결제 플랫폼이다. 여기에 웹툰, 웹소설, 쇼핑까지 아우르는 네이버 생태계는 블록체인 인프라의 실사용 무대로 손색이 없다.

‘코인베이스(Base)+페이팔(PayPal)’ 모델의 한국판 실험

이 합병 시나리오는 이미 미국에서 선례가 있다. 코인베이스는 옵티미즘 스택 기반 베이스(Base) 체인을 통해 거래소에서 인프라 사업자로 진화했고, 페이팔은 스테이블코인 PYUSD를 도입해 결제 네트워크를 확장했다.

한국판 모델의 차별점은 이 두 가지 실험을 하나의 생태계에서 동시에 구현한다는 데 있다. 두나무의 인프라와 네이버의 결제·콘텐츠가 결합하면서 사용자는 투자·결제·콘텐츠 소비를 단일 플랫폼에서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나스닥 입성의 조건

증권가는 합병 법인의 기업가치를 40조~50조 원으로 전망한다. 이는 글로벌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시가총액과 비교해도 경쟁력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나스닥 상장은 단순한 몸집 불리기로 가능하지 않다.

업계에서는 이번 합병이 글로벌 투자자 신뢰를 얻기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세 가지 관문을 지적한다.

첫째, 국제결제은행(BCBS)과 국제통화기금(IMF) 기준을 충족하는 스테이블코인 준비금 및 공시 체계의 마련이다.

둘째, 지분 스왑 이후 두나무와 네이버 간 지배구조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거버넌스 설계다.

셋째, 금융정보분석원(FIU) 제재 문제를 해소하고 강화된 자금세탁방지(AML)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컴플라이언스 체계 확보다.

이 과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큰 시장 기회가 눈앞에 있다 하더라도 글로벌 투자자들의 신뢰를 확보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제로 옮겨가는 블록체인의 시험대

이번 합병은 블록체인이 단순히 투자와 거래의 수단을 넘어, 실질적인 결제 인프라로 자리 잡을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시험대다. 업비트의 1천만 사용자와 네이버의 월간활성이용자(MAU) 4천만이 결합한다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블록체인 기반 결제 생태계를 일상으로 확장하는 국가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합병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은 거창한 비전이 아니다. 결제 전환율, 즉시 정산율, 가맹점 확대, 온체인 IP 매출과 같은 구체적인 지표가 실제로 쌓여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가 뒷받침될 때 비로소 ‘한국판 코인베이스+페이팔’ 모델은 투자자와 시장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테크풍운아 칼럼니스트  scienceazac@naver.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