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투자 과열 경고, 구글도 예외 아냐… 사회적 혼란 속 적응 필요

순다 피차이 구글 CEO는 18일(현지시간) BBC 인터뷰에서 인공지능(AI) 시장에 거품이 발생하면 어떤 기업도 면역이 없으며, 전 세계적으로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구글 최고경영자 순다 피차이. 사진=위키미디어커먼스
구글 최고경영자 순다 피차이. 사진=위키미디어커먼스

AI 투자 과열과 닷컴 호황의 유사성

피차이 CEO는 “투자 주기를 거치면서 우리가 과하게 쏘는 순간들이 있다”며 “인터넷 산업 전체를 돌아보면 분명 과도한 투자가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AI도 비슷한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하며, 이성적 판단과 비이성적 요소가 혼재하는 순간이 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BBC는 그의 발언이 1996년 앨런 그린스펀 전 연준 의장이 닷컴 호황기에 ‘비이성적 과열’을 경고한 사례와 유사하다고 전했다.

구글, AI 거품 속에서도 대응력 확보

최근 AI 기술 기업들의 가치가 오르면서 AI 기술에 대한 투자가 급증한 것을 두고, 거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AI 거품 붕괴 시 구글이 영향을 받지 않겠냐는 질문에, 피차이 CEO는 “우리 포함 면역 기업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구글은 반도체, 유튜브 데이터, AI 모델, 최첨단 과학 기술 등 광범위한 자산을 보유한 독특한 기업이므로, 시장 혼란이 발생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대응력이 높은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AI와 사회적 적응의 필요성

피차이 CEO는 AI를 “인류가 발전시켜온 가장 심오한 기술”이라고 표현하며, 사회적 혼란을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AI는 특정 직업을 진화시키고 전환할 것이며, 사람들은 이에 적응해야 한다”며 “교사, 의사 등 직업과 상관없이 AI 도구를 사용하는 법을 배우고 적응하는 사람들이 더 잘해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