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차이 CEO “투자 부족이 위험”… 데이터센터·AI 칩 공격적 확장
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서비스용 컴퓨팅 용량을 반년마다 두 배로 늘려야 하며, 향후 4~5년 내 1천배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표를 내부 보고서를 통해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인프라, 반년마다 두 배… 5년 뒤 1천배 목표
CNBC가 입수한 구글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아민 바흐다트 구글 클라우드 부사장은 지난 6일 전사 회의에서 “이제 우리는 6개월마다 컴퓨팅 용량을 두 배로 늘려야 하며, 4~5년 뒤에는 1천배에 도달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같은 비용과 전력으로 1천배 높은 용량, 컴퓨팅,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협업과 공동 설계를 통해 목표 달성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또 데이터센터 확충뿐 아니라 자체 개발 AI 칩 업그레이드를 통해 처리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투자 부족이 더 큰 위험… 피차이 CEO 입장
회의에 참석한 순다 피차이 CEO는 직원이 ‘AI 거품’ 논란과 과잉 투자를 우려하자, 오히려 “이런 시기에는 투자 부족이 더 큰 위험”이라고 답했다.
피차이는 클라우드 실적이 매우 우수했지만, 충분한 컴퓨팅 자원이 있었다면 결과가 더 좋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회사의 재무 건전성을 근거로 들어 “우리는 다른 기업보다 실수를 견딜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강조하면서, 내년 AI 시장 경쟁이 치열할 것이라는 점도 언급했다.
공격적 AI 시장 대응… 데이터센터·자체 AI 칩 확장
한때 오픈AI보다 AI 성과가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았던 구글은, 최근 새 AI 모델 ‘제미나이3’를 공개하며 여러 벤치마크에서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
이를 기반으로 이미지 생성·편집 도구 ‘나노 바나나 프로’도 출시했다.
구글은 데이터센터 확장에 적극 투자하고, 텐서처리장치(TPU) ‘아이언우드’ 등 자체 AI 칩도 출시하는 등 공격적으로 AI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 구글폰에서도 ‘에어드롭’ 된다…안드로이드-아이폰 초고속 전송 첫 개방
- “제미나이 3 vs GPT-5.1”…판이 달라졌다, 목적이 갈라놓은 AI 최상위 모델의 진짜 격차
- 구글, 제미나이3 프로 기반 나노 바나나 프로(Nano Banana Pro) 공개… 이미지 생성 AI의 판을 뒤집다
- 구글, 제미나이3 프로 기반 ‘나노 바나나 프로’ 이미지 AI 공개
- [테크 칼럼] 제미나이3, GPT-5.1을 넘다…AI는 이제 ‘일을 대신하는 시대’로 간다
- 구글 순다 피차이 “AI 거품 터지면 면역 기업 없어… 모두 타격 받을 것”
- 오픈AI, ‘GPT-4o’ API 제공 중단 선언…대표 멀티모달 모델의 ‘퇴장 카운트다운’ 시작
- [투자 브리핑] 구글 ‘제미나이 3.0’이 불 붙인 기술주 랠리… 한국 증시, 심리 회복·반등 정조준
- [테크이슈] 구글 TPU 상용화, AI 반도체 경쟁 구도를 뒤흔들다...엔비디아 중심의 GPU 독주 체제 균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