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 코리아’ 개최… 13대 슈퍼컴퓨터·11개 LLM 프로젝트 진행

엔비디아가 18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AI 데이 코리아’에서 한국을 세계적 AI 허브이자 AI 생산 국가로 평가하며, 국가 규모 AI 프로젝트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AI 데이 코리아 현장. 사진=연합뉴스
AI 데이 코리아 현장. 사진=연합뉴스

한국, AI 백본과 생태계 갖춘 중심국

실파 콜핫카르 엔비디아 국가 AI 비즈니스 협력 총괄은, AI 데이 코리아 행사에서 “한국은 26만 개 GPU로 구축된 AI 백본(Backbone)을 갖춘 국가이며, 단순한 AI 소비자가 아니라 AI를 생산하는 국가”라고 말했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한국의 AI 생태계에는 개발자 33만 2000명, 엔비디아 인셉션 프로그램 참여 스타트업 780개, 생성형 AI 스타트업 130개가 포함된다.

콜핫카르 총괄은 “단순한 성장이 아닌 국가 규모의 변혁이 진행 중”이라고 평가했다.

국가 AI 프로젝트와 슈퍼컴퓨터 활용

한국에서는 13대 슈퍼컴퓨터와 11개 대형언어모델(LLM)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콜핫카르 총괄은 “한국의 소버린 AI 모델은 국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되며, 정부 서비스에서도 AI가 문서와 정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는 한국의 국가 AI 프로젝트에 협력하며 기술과 플랫폼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피지컬 AI, 로보틱스 중심 산업으로 확대

콜핫카르 총괄은 향후 AI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피지컬 AI가 에이전틱 AI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피지컬 AI는 현실 세계와 동일한 디지털 트윈에서 로봇을 훈련한 뒤 실제 환경에 배포하는 구조가 핵심이다.

그는 한국 로보틱스 생태계는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고, 몇 주 전 열린 로봇학회에서 혁신적 로봇 스타트업 7곳이 한국 로봇 생태계의 발전 속도를 잘 보여 줬다고 평가했다.

이에 엔비디아는 한국의 로보틱스 AI 개발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한국, STEM 인재와 산업 전략으로 세계 주목

콜핫카르 총괄은 “한국은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인재, 정부 전략, 산업 생태계를 모두 갖춘 국가”라며, “세계 AI 산업에서 중심적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으며, 엔비디아는 이 여정을 함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AI 및 로보틱스 분야 성장 잠재력은 향후 글로벌 AI 경쟁에서도 주목받을 전망이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