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의존도 낮추고 클라우드 공급 다변화… ‘클로드’ 모델 전면 배치

마이크로소프트(MS)가 엔비디아, 앤스로픽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앤스로픽의 AI 모델 ‘클로드’를 MS 애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등 오픈AI 의존도를 낮추며 AI 시장 경쟁 구도를 재편하고 있다.

앤스로픽이 MS와 엔비디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앤스로픽이 MS와 엔비디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MS·앤스로픽·엔비디아, 전략적 협약 체결

MS는 18일(현지시간) 엔비디아, 앤스로픽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앤스로픽은 MS의 애저 클라우드 300억 달러 규모를 구매한다.

이를 통해 앤스로픽은 최대 1GW(기가와트) 규모의 컴퓨팅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MS는 자사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 고객에게 앤스로픽의 클로드 모델을 제공하며, 대상 모델은 소넷 4.5, 오퍼스 4.1, 하이쿠 4.5 등이다.

이에 따라 클로드는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 클라우드, MS 애저까지 세계 3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유일한 AI 모델이 됐다.

투자와 협력으로 구축한 ‘순환 거래’ 구조

이번 파트너십에는 투자도 포함됐다. 앤스로픽은 엔비디아로부터 100억 달러, MS로부터 50억 달러를 투자받았다.

투자금으로 엔비디아 칩을 장착한 MS 클라우드를 구매하는 구조로, 일종의 ‘순환 거래’가 형성됐다.

엔비디아는 앤스로픽 모델이 성능과 효율, 비용 측면에서 최적화되도록 설계 및 엔지니어링 지원을 맡는다.

앤스로픽은 엔비디아의 ‘그레이스 블랙웰’, ‘베라 루빈’ 등을 활용해 1GW 규모 컴퓨팅 자원을 활용할 계획이다.

오픈AI 의존 줄이려는 MS 전략

이번 협약은 MS가 오픈AI 초기 투자사였지만, 점차 오픈AI에 대한 의존을 줄이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나델라 MS CEO는 “오픈AI는 여전히 주요 파트너”라고 강조했지만, 양사 관계는 과거보다 느슨해지는 모습이다.

오픈AI는 최근 공익법인(PBC)으로 조직을 재편하면서 MS의 클라우드 독점 공급 의존에서 벗어나려 하고 있으며, AWS 클라우드 계약 체결 사례도 이를 보여준다.

엔비디아 또한 기존 오픈AI 의존도를 낮추고 보다 넓은 수요 창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AI 시장에서 합종연횡 가속… 공급 다변화 관건

앤스로픽은 AWS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MS와 협업하며 클라우드 공급을 다변화하고 있다.

금융투자회사 D.A.데이비슨의 길 루리아 분석가는 “이번 파트너십의 핵심은 AI 경제가 오픈AI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것”이라며, “MS와 엔비디아 모두 단일 모델 기업 의존도를 낮추고 보다 넓은 수요 창출을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합종연횡은 AI 시장 경쟁에서 클라우드와 모델 제공을 둘러싼 전략적 균형이 더욱 중요해졌음을 보여준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