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은 기술 앞에서 주춤… 중국은 전기 보조금으로 속도 낸다”
세계 1위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미국의 대(對)중국 첨단칩 수출금지 정책에 우회적으로 비판을 던졌다. 그는 서방이 기술 규제에 발이 묶인 사이, 중국은 정부의 에너지 보조금을 등에 업고 AI 산업을 폭발적으로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방, 기술 낙관론 잃었다”… “규제만 늘어선 발전 없다”
황 CEO는 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파이낸셜타임스(FT) 주최 ‘AI의 미래 서밋’에서 “중국은 AI 경쟁에서 미국을 앞지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서방은 기술 발전에 대한 냉소주의에 빠져 있다”며 “미국의 50개 주가 각자 규제를 만들면 50개의 새 족쇄가 생기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중국에선 전기가 공짜”… AI 칩 경쟁력의 그림자
황 CEO는 “중국에서는 전기가 무료”라며 “이 때문에 중국 기업들이 화웨이 등 자국산 AI 칩을 사용하는 비용 부담이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기술 기업에 에너지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화웨이 등 자국산 칩을 엔비디아의 대체품으로 훨씬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은 연산 능력과 전력 효율 면에서 중국산을 압도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싼 전기 앞에 장사 없다”는 말처럼, 보조금이 그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중국 정부는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등 자국의 주요 기술기업의 에너지 지원 규모를 확대했다.
트럼프 “수출 금지 계속”… 젠슨 황 “중국 시장 잃으면 미래도 잃는다”
이번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엔비디아의 최첨단 AI 칩의 대중국 수출을 금지하겠다는 방침을 거듭 밝힌 직후 나왔다.
황 CEO는 지난달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개발자 행사(GTC)에서도 “미국이 AI 경쟁에서 승리하려면 중국 시장을 포기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에 반도체를 팔아 그들이 미국 기술에 의존하게 만드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승리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CBS 인터뷰에서 “최첨단 칩은 미국 외에는 누구도 갖지 못하게 하겠다”며 단호히 선을 그었다.
최송아 객원기자 neria97@hanmail.net
- 엔비디아, ‘피지컬 AI’로 산업 혁신 시대 연다…“SK텔레콤, AI 네이티브의 모범”
- [테크브리핑] 트럼프 “엔비디아 블랙웰 칩, 미국만 써야”… 韓 26만 개 공급 발표와 정면 충돌
- AI 인프라 전쟁, 한국이 전장 한복판에 섰다
- 현대차그룹 × 엔비디아, 피지컬 AI로 ‘움직이는 지능’을 만든다
- [APEC] “로봇이 로봇 만드는 시대, 한국이 무대다”... 젠슨 황이 던진 ‘피지컬 AI’ 선언
- 엔비디아, 양자컴퓨터와 손잡다...젠슨 황 “GPU와 QPU 결합, 슈퍼컴퓨팅의 새 시대 연다”
- 엔비디아, 삼성·SK·현대차·네이버에 AI칩 공급한다...“한·미 AI 동맹 강화”
- [마이스] 엔비디아, ‘AI 데이 서울’ 11월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
- [테크 칼럼] 탈원전 시대, 한국 AI 생존 전략은 ‘전력 확보’다
- 젠슨 황 “엔비디아 최신 AI칩, 중국 수출 논의 없다”…미·중 기술패권 갈등 속 ‘블랙웰’ 발 묶였다
- 중국, AI칩 부족 심화… 정부가 SMIC 생산량 분배 개입
- 엔비디아, 한국 AI 잠재력 집중 조명… “GPU 26만대 보유, AI 중심 국가”
- 트럼프, 엔비디아 AI칩을 ‘외교 지렛대’로… 젠슨 황과 전략적 밀착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