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전환(AX) 겨냥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AI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코난테크놀로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정부 과제에 출사표를 던졌다. 코난테크놀로지는 21일,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 컨소시엄 대표기관으로서 본격 참여를 선언했다.
이번 컨소시엄은 총 8개 기관으로 구성되며, 사이냅소프트·알체라·페블러스 등 AI 전문 중소기업 3곳과 고려대·연세대·POSTECH·KAIST 등 국내 대표 연구중심대학 4곳이 참여한다. 특히, 각 대학에서는 AI 전공 교수 총 12명이 참여하여 이론과 실무 역량을 겸비한 연구 기반을 구축했다.
제조업 중심 ‘K-AI’ 전략 모델 구상
제출된 과제명은 ‘제조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및 학습 효율화 기술 개발’. 코난테크놀로지 컨소시엄은 이 모델을 제조 산업에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AX(인공지능 전환) 플랫폼으로 설계했다.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플랫폼을 확산하고, 동시에 초·중·고교 대상 AI 플랫폼 보급을 통해 교육 영역의 접근성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해당 컨소시엄은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협력 기반의 ‘소버린 AI’ 해외 진출 또한 목표에 포함시켜, 단순 기술개발을 넘어 글로벌 시장 진입 전략까지 함께 구체화했다.
실전 중심 전문가팀과 이론 기반 학계 컨소시엄 구성
코난테크놀로지 김영섬 대표는 “현장의 실전 경험을 갖춘 인력과 함께 팀을 꾸렸다”며, “정부 인사 정책에서도 강조되는 실무 중심 역량에 부합하는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K-AI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컨소시엄 내 4개 대학 교수진은 국가AI연구거점사업(총괄 김기응 교수)에도 참여 중이며, 최근 5년간 AI 분야 SCI 논문 180건, 주요 AI 컨퍼런스 발표 210건 이상이라는 탄탄한 연구 실적을 기반으로 한다. KAIST가 주관연구기관, 고려대·연세대·포항공대는 공동연구기관으로 협력하며 기술 완성도를 높인다.
‘Konan-LLM-OND’ 모델로 사전검증 완료
코난테크놀로지는 최근 허깅페이스(Hugging Face)를 통해 자체 개발한 대규모 언어모델 ‘Konan-LLM-OND’를 공개했다. 이 모델은 한국어 어휘 확장, 추가 사전학습, 지시형 튜닝 기반으로 토큰 효율성 30% 향상이라는 성과를 달성하며 사전검증을 마친 상태다.
"K-AI 3대 강국 진입의 교두보 될 것"
김 대표는 “이번 과제가 선정된다면, 대한민국이 세계 3대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실질적 기여를 하겠다”며, K-AI 생태계의 자립 기반 마련에 강한 의지를 밝혔다. 제조업 기반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중심으로 코난테크놀로지 컨소시엄의 기술력과 산업 연계 전략이 어떤 평가를 받을지 주목된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국가대표 AI 모델, 누가 K-AI 이름을 차지할까
- [분석리즘] 국가대표 AI 선발전… 기술력으로 승부수 던진 기업들
- 무인전장 시대, 코난테크놀로지가 여는 국방 AI의 미래
- 뜨거운 K-방산에 AI업계 가세…코난테크놀로지, 유무인 복합체계 개발
- [분석리즘] 국방에서 금융까지, AI의 지평을 넓히는 기업, 코난테크놀로지
- 코난테크놀로지, 겟스마트와 생성형AI 협력…금융 특화 AI 개발
- [소버린 AI] “이젠 칩도 모델도 K-기술”
- 코난테크놀로지 '국방 AI 서밋' 개최…"팔란티어식 전략 접목"
- K-AI 국가대표 10개 팀 압축…기술력·전략 본게임 시작
- 코난테크놀로지-델, AI 기술 교류…엔비디아 GPU 구축 사례 공유
- 코난테크놀로지, 국방 특화 LLM 개발 본격화…에이전틱 AI로 전장 판단 보조
- 코난테크놀로지, 경기도 ‘G-GPT’ 첫선…법률 특화 AI로 공공시장 공략
- 코난테크놀로지, ‘K-국방 AI참모 얼라이언스’ 출범…한국형 AI 전장혁신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