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버린 AI 시대, 누가 한국의 대표 모델을 만들 것인가
국가 주도의 인공지능 프로젝트인 ‘소버린 AI’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주요 AI 기업들이 저마다 ‘국가대표 모델’을 자처하고 나섰다. 한국어에 특화된 파운데이션 모델을 자체 개발해 기술 주권을 확보하겠다는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연구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AI 산업의 향방을 가늠할 핵심 경연장이 되고 있다.
이번 선발전에 참여하거나 참여를 검토 중인 기업은 LG AI연구원, 네이버, KT, SK텔레콤, NC소프트, 코난테크놀로지, 업스테이지, 솔트룩스, 이스트소프트, 카카오 등으로, 대기업과 AI 스타트업이 고르게 포진해 있다. 이들의 기술력은 실제 어느 수준에 와 있을까?
특허 출원량으로 본 기술개발 속도… KT가 1위
기술력은 단순한 서비스 구현 수준만으로는 온전히 평가하기 어렵다. 연구개발의 활발함과 전략 방향은 특허 출원 데이터를 통해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최근 특허 전문 분석기관 키워트(keywert)의 ‘keyValue’ 평가에 따르면, KT가 AI 관련 특허 출원 70건으로 국내 기업 중 가장 많은 실적을 기록했다. 뒤를 이어 네이버가 56건, LG AI연구원이 36건, SK텔레콤이 29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솔트룩스, 업스테이지, 코난테크놀로지 등 중견 AI 기업들도 대기업 사이에서 의미 있는 출원 실적을 올리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는 AI 기술 경쟁이 일부 대기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규모의 기업들이 기술 주도권을 놓고 치열하게 겨루고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
‘기술의 질’로 본 경쟁력… B등급 이상 특허 7개 기업이 보유
특허는 양도 중요하지만 질이 더욱 중요하다. keyValue 평가에서는 특허의 권리성, 기술성, 활용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9단계로 등급을 부여한다. B등급 이상 특허는 기술성과 시장성을 고루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B등급 이상의 특허를 다수 보유한 기업은 네이버, 솔트룩스, SK텔레콤, KT, NC소프트, 업스테이지, 이스트소프트로 총 7개사에 달했다. LG AI연구원의 경우 최근 3년간 특허 출원이 급격히 증가했지만, 등록까지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향후 평가 반영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소버린 AI 핵심은 ‘추론·에이전트·멀티모달’
이번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 키워드는 세 가지다.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을 의미하는 ‘추론(Reasoning)’, 스스로 도구를 선택해 문제를 해결하는 ‘에이전트(Agent)’, 텍스트와 이미지 등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이해하는 ‘멀티모달(Multimodal)’ 기술이 그것이다.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로 압도적 기술력 증명
네이버는 한국어 초대형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를 중심으로 멀티모달 추론, 고도화된 언어 처리, 실용적 AI 응용에 집중하고 있다. 등록 특허의 43%가 B등급 이상으로 평가됐으며, 멀티턴 대화 생성, 문서 요약, 비정형 문서 정보 추출 등 실질적 기능 구현에 필요한 기술이 고루 포함됐다.
대표 특허인 ‘GAN 기반 멀티턴 대화 응답 생성 시스템’은 B+ 등급을 획득해 기술성, 활용성 모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네이버는 양과 질을 고루 갖춘 기술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AI 산업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KT, 유일한 A등급 특허로 독창성 인정받아
KT는 ‘믿:음 2.0’을 통해 한국어에 최적화된 자체 LLM을 공개하며, 질의 해석, 지식 그래프, 멀티도메인 챗봇 등 실용성 높은 AI 기술을 확보했다. 특히 질의어 처리 기술은 keyValue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유일한 사례로, 독창성과 권리성 모두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해당 특허는 복잡한 질의에 대한 분석과 정보 제공에 초점을 맞췄으며, 실제 서비스로의 연결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업스테이지, OCR 원천기술로 빅테크급 성능 확보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는 자체 개발한 한국어 특화 LLM ‘솔라(Solar)’를 기반으로 OCR(문자인식) 관련 특허에 집중하고 있다. 테스트 기반 모델 배포 방법 등 핵심 기술 3건이 모두 B등급을 받아 기술성과 활용성에서 안정적인 성과를 거뒀다.
특히 ‘모델 성능 비교 후 최적 모델만 배포’하는 기술은 효율성과 실용성을 모두 갖춘 사례로, AI 경량화와 상용화 가능성 면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글로벌 특허 경쟁력도 ‘네이버’가 선두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에서 기술력을 입증받은 기업은 네이버였다. 총 76건의 해외 특허를 보유하며 국내 기업 중 가장 많은 해외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특히 일본에서는 39건을 보유 중이며, 미국, 유럽, 중국 등에도 다수의 특허를 등록했다.
해외 등록 특허 중 A등급 6건, B+등급 8건, B등급 10건으로 확인되며, 기술의 질적 측면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솔트룩스는 중소기업 중 유일하게 미국과 PCT(국제 특허 협력조약) 진출에 성공하며, AI 기술의 해외 확장 가능성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네이버 독주, LG 추격… AI 기술 패권 경쟁 가열
최근 특허 출원 흐름을 보면 네이버는 안정적인 기술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독주 체제를 구축한 반면, LG AI연구원은 최근 출원량이 급증하며 급속히 추격 중이다. SK텔레콤은 점진적인 기술 확대를 꾀하고 있으며, KT와 솔트룩스는 출원량 감소로 다소 주춤한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AI 산업의 리더는 단순한 기술 성능보다 이를 뒷받침하는 특허 전략과 상용화 역량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며, “AI 기술 주권을 둘러싼 경쟁은 지금부터가 진짜 시작”이라고 전망했다.
테크풍운아 칼럼니스트 scienceazac@naver.com
- '국가대표 AI' 전쟁터 열린다…GPU와 오픈소스가 판 가른다
- 챗GPT 넘을 ‘국가대표 AI’는 누구인가?
- ‘K-AI’ 시동 건 한국…GPT 독점 구조에 균열 낼까
- [분석리즘] 업스테이지 솔라 프로 2...한국형 LLM의 진화
- [분석리즘] 솔트룩스, 초거대 모델과 인지검색으로 디지털 기록 행정의 미래를 설계하다
- [분석리즘] 국방에서 금융까지, AI의 지평을 넓히는 기업, 코난테크놀로지
- 네이버, 북미 공략 위한 ‘싱스북’ 9월 출시 유력
- [분석리즘] 뉴엔AI, 구어체 AI 분석 서비스 퀘타(Quetta)로 코스닥을 열다
- 코난테크놀로지, ‘제조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로 K-AI 경쟁 출사표
- 업스테이지, 세계 10대 프런티어 LLM 기업 등극
- "AI 3대 강국 해볼 만하겠네"…소버린 AI 모델들 잇따른 낭보
- 네이버클라우드, 상업용 무료 추론모델 공개…“국내 AI 생태계 확장 신호탄”
- [분석리즘] 모레, ‘한국형 딥시크’를 꿈꾸는 AI 인프라의 설계자
- 이통 3사, K-AI 주도권 놓고 본격 경쟁…‘독자 AI’ 생태계 키운다
- [분석리즘] 트웰브랩스, 영상 AI 기반 모델로 글로벌 무대 선점한 K-스타트업
- [분석리즘] 포티투닷, 'SDV 페이스카'로 자율주행 AI의 중심을 노리다
- 정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5개 팀 선정 앞둬…최대 1.5조 지원
- [국가대표AI 선발전] LG AI연구원 컨소시엄, 데이터·풀스택 AI로 ‘히든카드’ 부상…한컴·퓨리오사AI와 시너지 극대화
- [국가대표AI 선발전] 코난테크놀로지 컨소시엄, 제조 특화 AI로 산업 전환 ‘게임체인저’ 노린다
- "스마트폰에도 돌아간다" NC AI, 초경량 AI 모델 공개
- 코난테크놀로지-델, AI 기술 교류…엔비디아 GPU 구축 사례 공유
- KT '믿:음 2.0', AI 안전성 벤치마크 평가 1위
- SKT, 국내 최고 시각·언어 AI 오픈소스 선보여
- [국가대표AI 선발전] KT, ‘믿:음 2.0’ AI 안전성 1위…공공·의료 특화 전략으로 최종 후보군 도약
- LG AI 모델 '엑사원 4.0', 글로벌 AI 성능 평가서 11위
- 8월 4일, 국가대표 AI 5개 컨소시엄으로 압축…K-AI 운명 갈린다
- KT “한국형 AI는 우리가 만든다”…‘믿:음2.0’으로 K-AI 본선 정면 도전
- 코난테크놀로지, ‘K-국방 AI참모 얼라이언스’ 출범…한국형 AI 전장혁신 시동
- “특허, 이제 AI가 쓴다”...워트인텔리전스, 특허 LLM ‘플루토LM’로 글로벌 IP 혁신 도전
- 솔트룩스의 미국 서비스 ‘구버’, 글로벌 피칭 대회 우승
- 솔트룩스, CEO 간담회에서 ‘AX 시대 주도권’ 선언… 2026년 재도약 로드맵 공개
- [AI스타트업 투자] 솔트룩스, 매출 감소에도 ‘버티컬 AI 1위’ 승부수… LUXIA·AX 전략이 적자를 이길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