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셋 없이 홀로그램이 보이는 시대, 메타가 문을 열었다”
메타는 스탠퍼드대학교와 공동으로 3mm 초슬림 홀로그래픽 XR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해, 지난 8월 1일 과학 저널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 발표는 VR 헤드셋 없이도 몰입형 혼합현실(MR)을 구현할 수 있는 안경형 XR 기기의 실현 가능성을 한층 더 끌어올린 기술적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안경’, 진짜로 가능해지다
이번에 공개된 디바이스는 두께 단 3mm의 광학 스택을 적용한 초슬림 XR 안경형 프로토타입이다.
기존 VR·MR 기기들이 양안에 입체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인 것과 달리, 이 프로토타입은 AI 기반 광학 설계와 실시간 홀로그램 기술을 결합해 더욱 현실감 있는 시각적 깊이를 제공한다.
특히 무게 면에서도, 현재 상용 제품인 메타 퀘스트3(515g)보다 최대 80% 가벼운 약 100g 수준으로 경량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아직은 ‘비주얼 튜링 테스트(Visual Turing Test)’를 통과하지 못한 초기 개발 단계로, 현실과 가상의 구분을 완전히 허물지는 못했지만, 메타는 이를 목표로 기술 고도화를 이어가고 있다.
■ 오리온(Orion)과의 연결 가능성도 주목
메타는 현재 ‘Orion’이라는 코드명을 단 차세대 AR 스마트글래스를 별도로 개발 중인데, 이번에 공개된 3mm 초슬림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기술이 향후 이 Orion 기기에 적용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Orion은 웨이브가이드 기반의 얇고 가벼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구조를 채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야각 약 70도, 마이크로LED 기반 프로젝션 시스템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이번 기술과 공통적으로 초경량화, 몰입형 시각 경험, 홀로그램 기반 구현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기술적 융합 가능성이 열려 있다.
현재까지 메타는 두 기술의 통합 여부를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R&D 구조와 방향성이 겹치는 만큼 향후 Orion의 후속 모델 또는 상용 버전에 3mm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될 여지가 충분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 기술 공개 일정 및 개발 현황
기술 공개일: 2025년 8월 1일
공개 채널: 《Nature Photonics》 논문 게재
개발 주체: 메타 리얼리티랩스 + 스탠퍼드대학교 공동연구팀
현재 상태: 프로토타입(R&D 단계)
상용화 전망: 향후 3~10년 내 상용 제품 가능성 제시
■ 메타의 XR 전략, 퀘스트를 넘어 ‘스마트안경 시대’로
메타는 퀘스트 시리즈를 통해 MR 생태계를 확장해왔고, 동시에 레이밴·오클리와의 협업 XR 안경, AI 비서 연동형 스마트 글래스, 그리고 차세대 고급형 프로젝트 셀레스테(Celeste)까지 XR 라인업을 다각도로 확장 중이다.
특히 셀레스테는 메타의 프리미엄급 XR 디바이스 프로젝트로, 애플 비전 프로에 대응할 고성능 기기다. 2025년 9월 17일 Meta Connect에서 발표되고, 10월 중 배송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 가격은 $1,300~$1,400 수준이며, 디스플레이 성능과 시야각, 손·눈 트래킹 정밀도가 대폭 향상될 예정이다.
■ 메타 XR 제품군 한눈에 보기
| 제품명 | 형태/기술 요약 | 출시 일정 | 예상 가격 | 비고 |
| 3mm 홀로그램 XR 프로토타입 | 초슬림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AI 광학 최적화 | 미정 (개념 검증 단계) | 미정 | 연구용 프로토타입, 상용화까지 수년 소요 |
|
Meta Hypernova (가칭) |
HUD 내장 스마트 글래스, 메타 AI 연동 | 2025년 말 예상 | 약 $1,000 이상 | 메타 첫 HUD 기반 AR 안경 |
| Ray-Ban Meta 2세대 | 카메라·마이크 내장, SNS 연동형 스마트 글래스 | 2025년 상반기 출시 완료 | 약 $300~$400 | 일상형 XR 글래스, SNS·AI 연동 강화 |
| Quest 3S | 헤드셋형 혼합현실(MR), 컬러 패스스루 지원 | 2024년 10월 출시 | $499부터 | 경량형 보급 MR 기기 |
| Meta Celeste (가칭) | 프리미엄 XR 헤드셋,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Eye/Hand 트래킹 | 2025년 9월 발표 → 10월 배송 | $1,300~$1,400 예상 | 애플 비전 프로 대응, 고급형 XR 플랫폼 |
■ 테크인싸의 관전평
이번에 공개된 3mm XR 안경 기술은 아직 완성된 제품은 아니지만, VR의 미래가 ‘쓰는 기기’에서 ‘쓰고 다니는 일상형 플랫폼’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명확한 신호탄이다.
특히 메타가 셀레스테, 하이퍼노바, 레이밴 메타 등 다양한 제품군을 통해 헤드셋 중심 XR에서 ‘스마트글래스 기반 XR 생태계’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VR은 안경이 된다.” 메타의 이 슬로건은 더 이상 미래지향적 캐치프레이즈가 아니라, 기술과 제품 로드맵을 반영한 현실 선언이 되어가고 있다.
테크인싸 칼럼니스트 tlswnqor@naver.com
- [테크핫템] 알리바바 ‘쿼크 비전’ 공개…38만 원 스마트 글래스, 알리페이도 된다
- [테크핫템] 뇌 대신 손목을 택했다…메타, 생각을 읽는 AI 손목밴드 공개
- [테크핫템] 틱톡이 만든 스마트 글래스, ‘스완(Swan)’
- [테크핫템] 삼성 XR 안경 ‘프로젝트 무한’…“현실 너머의 AI 경험 시작된다”
- [테크핫템] 샤오미 AI 글래스 출시...38만 원에 통역·촬영 다 되는 ‘스마트 안경’
- [테크핫템] ‘메타 셀레스테’...손목 제스처로 조작하는 HUD 스마트글라스, 10월 출격
- [테크핫템] 애플 비전 프로 2...‘사양 업’으로 실사용 업그레이드 노린다
- [테크핫템] 브릴리언트랩스 ‘헤일로(Halo)’…시야에 기억을 띄우는 스마트 글래스
- [테크핫템] “시리, 오늘 뭐 해?”…애플이 준비 중인 책상 위 로봇, 정체는?
- 메타 하이퍼노바, 800달러 HUD 스마트 글래스...9월 출시
- [잇브랜딩] AR 글래스 시대, 마케팅의 미래는 어떻게 달라질까
- 메타를 넘는 ‘K-AI 글래스’, 국산 XR 디바이스의 반격
- [테크핫템] 아마존, 첫 XR 스마트 글래스 개발… 배송도 일상도 ‘안경 하나로’
- 메타 커넥트 2025, 스마트 글래스 ‘하이퍼노바’ 실체 드러난다
- [칼럼] 3D 테크의 재조명: 현실의 몰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