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리더보드 1위, 오픈소스 공개…기술력은 충분했다
카카오는 자체 개발한 한국어 특화 대형언어모델(LLM) ‘카나나(Kanana)’를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대표 AI(K-AI)’ 프로젝트 본평가에 도전했다.
특히 ‘카나나-1.5‑8B‑instruct’는 국내 한국어 LLM 벤치마크인 ‘호랑이(Horang-i)’ 리더보드에서 80억 파라미터 이하 부문 1위(점수 0.691) 를 기록하며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또한 카카오는 모델 구조와 학습 데이터를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방식으로 설계했으며, 멀티모달 모델 ‘카나나‑o’, 에이전틱 AI 기능까지 고도화하며 모델의 활용 확장성도 확보했다.
카나나 시리즈 일부는 Apache 2.0 라이선스로 허깅페이스에 오픈소스 공개되며 개발자 생태계와의 연계 전략도 보여줬다.
정부는 “기술보다 자립형 생태계”를 평가 기준으로 제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K-AI 정예팀 선발에 대해 “국산 기술을 바탕으로 외산 의존 없이 독립적이고 확장 가능한 초거대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단순한 모델 성능이나 연구 성과보다는 데이터 주권 확보, 실사용 접점, 독립적 인프라 및 오픈소스 확산 전략이 주요 평가 기준으로 작용했다.
네이버는 데이터·서비스 연계와 공개 전략으로 차별화
최종 선정된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사 LLM ‘하이퍼클로바X’를 스마트스토어, 웨일 브라우저, 파파고 등 B2C 서비스 전반에 실전 배치하고 있다.
서울대·KAIST와의 협업을 포함한 산학연 구조, 클로바X의 기능별 성능지표, 글로벌 LLM과의 비교 프레임까지 전략의 구체성과 정렬성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외산 기술을 들여와 상표만 붙이는 것을 소버린 AI라 부르는 건 언어도단”이라고 언급하며, ‘기술 국적’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카카오톡·카카오쇼핑에 적용한 ‘카나나’, 실증 전달력은 약했다
카카오는 ‘카나나’ 모델을 카카오톡 채널의 자동 응답 챗봇, 카카오쇼핑의 검색·추천 시스템, 카카오워크·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문서 요약 및 Q&A 기능 등에 연동하며 실제 적용을 시도했다.
그러나 해당 적용의 성능 지표나 사용자 규모는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다. 발표 평가에서 이 지점이 전략적 설명력의 한계로 작용했을 수 있다. 실사용 기반은 카카오 LLM의 실효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였지만, 평가 과정에서 그 강점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카카오는 컨소시엄 구성과 서비스 연계 전략을 끝까지 공개하지 않는 ‘비공개 전략’을 택했으며, 이로 인해 발표 평가에서 전략의 실행 가능성과 생태계 구성력에 대해 설득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소버린 AI’ 기조와 어긋난 외산 협력 이력도 변수
카카오는 2024년 2월, 오픈AI와 AI 기술 협력 및 서비스 연계에 관한 전략적 제휴를 맺은 바 있다.
이러한 외산 협력 이력은 기술 자체와 무관하게, 정부가 강조한 ‘소버린AI’ 기조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선택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일관되게 외산 의존 배제를 선언하고, 기술 내재화를 중심으로 독립형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정책 방향성과 높은 정렬도를 보여줬다.
플랫폼 강점은 분명했지만, 전략적 정렬에서 밀렸다
카카오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비롯해 멜론, 카카오쇼핑, 카카오워크 등 막강한 플랫폼 기반을 보유하고 있어, LLM 서비스 실증의 잠재력 면에서는 업계에서도 높은 기대를 받았다.
그러나 본 평가에서는 이 같은 강점을 구체적인 수치나 성과 기반으로 제시하지 못했고, 전략 공개의 미흡함이 네이버와의 결정적 차별점으로 작용했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분석이다.
카카오가 다시 도약하려면, 전략의 리빌딩이 필요하다
카카오는 기술 성능, 오픈소스 확장성, 서비스 플랫폼 역량을 모두 갖춘 유력한 AI 플레이어다.
그러나 정부가 요구한 ‘소버린 AI’ 생태계 구축 전략과의 정렬, 산학연 협력 구조의 명료성, 실증 성과의 설득력 면에서 경쟁 팀보다 다소 뒤처졌다는 점이 이번 탈락의 핵심 요인으로 보인다.
향후 카카오는 ▲카나나 기반의 상용 AI 에이전트 고도화 ▲B2C 서비스와의 강한 결합 전략 ▲데이터 자산의 주권적 확보 ▲협력 구조의 투명성 강화 등을 통해 ‘정책과 시장 모두를 설득할 수 있는 AI 전략’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국가대표AI] 통신 3사 중 유일한 탈락…KT, '국가대표 AI'에서 밀린 이유
- [국가대표AI] NC AI, ‘게임사의 한계를 깨고 국가대표 AI’로 선발된 이유는?
- [테크 칼럼] K-AI의 운명을 가를 5대 체크 포인트…이제는 성능이다
- [종합] ‘국가대표 AI’ 5개 컨소시엄 최종 선정…K-AI 주권 경쟁 본격화
- [AI 용어사전] ①소버린 AI
- 카카오, AI 대신 ‘스테이블코인’으로 승부수…新토큰경제 주도 노린다
- 하반기 ‘AI 격전지’ 네이버 vs 카카오…검색의 재설계, 관계의 재구성
- [국가대표AI] 최후의 승자는 누구? K-AI 5개 컨소시엄, 3년간의 생존 게임 돌입
- 카카오, 하반기 AI 서비스 대공개…카카오톡·금융·모빌리티에 7대 기술 적용
- 카카오톡, AI 내장 플랫폼으로 진화… 온디바이스 모델로 프라이버시까지 잡는다
- 카카오, 첫 그룹 단위 공채…“AI 네이티브 인재 확보 나선다”
- 카카오톡 안에 챗GPT 들어온다
- [테크 칼럼] “카카오, 김범수 리스크 끝에 오픈AI에 팔릴 수도 있다?”
- 네이버클라우드, 글로벌 문자인식 AI 대회 ‘ICDAR 2025’ 1위
- [국가대표AI 선발] 국가대표 AI, 국민이 뽑는다...K-AI 경쟁에 국민평가단 500명 투입
- 정부, ‘국가대표 AI’ 첫 평가 전격 연기… GPU 최적화 문제에 일정 조정